제14회 천태국제학술대회 / 상월원각대조사 탄신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
♣ 학술대회 취지
대한불교천태종은 1970년에 천태종을 중창하신 상월원각대조사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대조사의 탄신 100주년이 되는 2011년에 ‘미래세계와 불교’라는 대주제로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. 학술대회는 전체 6섹션의 세부 주제로 나누어져 각 분야에서 저명한 국내·외 학자 33인이 발표하도록 기획되었다.
♣ 일시 : 2011년 11월 12일(토)∼13일(일)
♣ 장소 : 논산 금강대학교
♣ 대표강연
국내 : “미래세계에 있어서 원각사상” : 권기종(원각불교사상연구원장)
국외 : “미래세계와 불교” : Paul Harrison(Stanford University)
♣ 발표 주제 및 발표자
제1섹션 종교는 미래사회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
번호 | 주제 | 발표자 |
1 | 포스트모더니즘과 불교의 미래 | 김용표(동국대) |
2 | 새로운 세계질서를 위한 불교와 서구종교의 종교윤리 | Dan Lusthaus(Harvard University) |
3 | 국제화와 문명 간의 대화 | Leonard Swidler(Temple University) |
4 | 불교수행법의 사회화 | 윤원철(서울대) |
5 | 일본 천태종의 관음신앙에 대해 | 武覺超(延曆寺執行) |
제2섹션 사회갈등의 조정에서 불교의 역할은 무엇인가
번호 | 주제 | 발표자 |
1 | 불교의 경제윤리 | 정병조(금강대) |
2 | 불교의 정치, 정치의 불교 | Ian Harris(University of the Arts London) |
3 | 빈부・남녀 차별과 불교의 역할 | 紀華傳(中國社會科學院) |
4 | 남북 간의 갈등에서 불교의 역할 | 유승무(중앙승가대) |
5 | 종교적 신념과 국가적 의무의 충돌 | Vladimir Tihonov(University of Oslo) |
제3섹션 다문화시대 종교 간의 화합
번호 | 주제 | 발표자 |
1 | 종교 간의 갈등과 폭력 | 황순일(동국대) |
2 | 불교의 他者 인식 | 이도흠(한양대) |
3 | 불교와 유교의 갈등과 조화 | 박해당(서울대) |
4 | 불교와 기독교의 새로운 관계 모색 | Torkel Brekkel(University of Oslo) |
5 | 다문화가정에서의 종교문제 | 엄한진(한림대) |
제4섹션 과학시대의 불교
번호 | 주제 | 발표자 |
1 | 과학시대의 불교인간관 | 최종석(금강대) |
2 | 생명복제, 장기이식과 불교의 생명윤리 | Damien Keown(London University) |
3 | 과학적 우주관과 불교적 우주관 | 박문호(한국전자통신연구원) |
4 | 생태적 삶과 불교의 사회적 역할 | 魏德東(中國人民大) |
5 | 현대물리학과 불교 | 양형진(고려대) |
6 | 불교와 신경과학 | Bernard Faure(Columbia University) |
제5섹션 한국불교, 어디로 가야 하는가
번호 | 주제 | 발표자 |
1 | 한국불교 종단 간의 미래지향적 관계 | 조성택(고려대) |
2 | 한국불교의 역사적 반성 | Robert Buswell(UCLA) |
3 | 한국불교에서 出家와 在家의 관계 | 신규탁(연세대) |
4 | 한・일 불교학의 미래 | 石井公成(駒澤大) |
5 | 한・중 불교학의 미래 | 樓宇烈(北京大) |
제6섹션 미래사회에서 ‘圓覺思想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
번호 | 주제 | 발표자 |
1 | 상월원각의 불교사상 | 김상현(동국대) |
2 | 불교수행의 새로운 지평 : ‘一心淸淨 觀音呪誦’ | 세운스님(천태종) |
3 | 미래사회와 한국천태종 | 이봉춘(동국대) |
4 | 천태지관의 현대적 접근 | 李四龍(北京大) |
5 | 천태수행과 중생구제의 문제 | 多田孝正(大正大) |